24시간 안정성을 위한 모니터링과 장애 대응🚨 새벽 3시, 장애 알림이 울렸다면?실제 상황 재현금요일 밤 11시💬 슬랙 알림: "웹사이트 응답 없음"📱 카카오톡: "고객이 주문을 못 한다고 연락 왔어요!"📧 이메일: "CloudWatch ALARM: CPU 사용률 100%"이런 상황, 경험해보셨나요?오늘은 이런 일이 생기기 전에 미리 준비하는 방법과, 생겼을 때 빠르게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모니터링이 뭐길래 이렇게 중요할까?모니터링 = 건강검진 + 응급실건강검진 역할:평소 서비스 상태 체크문제 징후 미리 발견예방 조치 가능응급실 역할:장애 발생 즉시 알림원인 파악 도구 제공복구 시간 단축모니터링 없이 운영한다면? ❌ 고객이 먼저 문제를 발견❌ 원인 파악에 몇 시간 소요❌ 매출 손실과 ..
실제 사례로 보는 선택 가이드지난 글에서 ECS와 EKS의 차이점을 알아봤는데, 막상 우리 회사에는 뭘 써야 할지 고민이시죠? 오늘은 실제 회사들이 어떤 기준으로 선택했는지, 그 결과는 어땠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례 1: 음식 배달 스타트업 - 속도가 생명!회사 상황규모: 개발자 3명, 총 직원 15명서비스: 음식 배달 앱목표: 3개월 내 베타 서비스 출시예산: 월 클라우드 비용 50만원 이하고민 포인트"투자 받기 전에 빨리 서비스를 보여줘야 해요. 복잡한 건 나중에 하고, 일단 돌아가는 걸 만들어야죠."선택: ECS ✅선택 이유:빠른 학습: 개발자가 적어서 복잡한 쿠버네티스 학습할 시간 없음간단한 설정: AWS 콘솔에서 클릭 몇 번이면 끝낮은 비용: 기본 관리 비용이 거의 없음AWS 연동: R..
최근 IT 업계에서 자주 듣게 되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ECS, EKS... 개발자가 아니라면 "또 무슨 복잡한 기술이야?"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어요. 하지만 이 기술들은 사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앱과 웹사이트를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만들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오늘은 이 둘을 아파트 관리에 비유해서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먼저 '컨테이너'가 뭔지 알아볼까요?컨테이너를 이해하려면 이사 상자를 떠올려보세요.예전에는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마다 컴퓨터 환경을 맞춰야 했어요 (마치 이사할 때마다 가구를 다시 조립하는 것처럼)컨테이너는 프로그램과 필요한 모든 것들을 하나의 상자에 깔끔하게 포장해놓은 것이 상자만 있으면 어느 컴퓨터에서든 똑같이 실행됩니다🏗️ ECS: 아파트 관리사무소 같은 서비스**EC..
타입 헬퍼란? 기존에 정의된 타입을 기반으로 새로운 타입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코드 중복을 줄이고 타입간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에 유용장점코드 중복 감소타입 안정성 보장API 문서 자동 생성유지보수 용이성일관된 DTO 구조 유지 1. PartialType()- 용도: 모든 속성을 선택적(optional)으로 만듦// 원본 DTOclass CreatePostDto { @ApiProperty() title: string; @ApiProperty() content: string; @ApiProperty() authorId: number;}// 모든 필드가 선택적으로 변환@ApiTags('posts')class UpdatePostDto extends PartialType(CreateP..
1. @ApiProperty()- 용도: DTO나 엔티티의 속성을 Swagger 문서에 정의class CreatePostDto { @ApiProperty({ description: '게시글 제목', // 속성 설명 example: '안녕하세요', // 예시 값 required: true, // 필수 여부 type: String, // 타입 maxLength: 100, // 최대 길이 default: 'New Post', // 기본값 enum: ['DRAFT', 'PUBLISHED'], // enum 타입..
1. @ApiPearerAuth()- 용도: JWT나 Bearer 토큰 인증을 사용하는 API를 문서화- 사용 시점: 컨트롤러 클래스 또는 메소드 레벨// main.ts에서 글로벌 설정const config = new DocumentBuilder() .setTitle('API 문서') .addBearerAuth() // Bearer 인증 활성화 .build();// 컨트롤러에서 사용@ApiBearerAuth()@UseGuards(JwtAuthGuard)@Controller('users')export class UsersController { @Get('profile') @ApiBearerAuth('JWT-auth') // 특정 보안 스키마 지정 getProfile(@Request() re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