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swagger 데코레이터
- 파이썬 sorted
- 파이썬조합
- examtopics
- SAA
- aws
- nest swagger
- python sorted
- Nest.js
- PHP8
- nest swagger 데코레이터
- SAA-C03
- Nest
- 프로그래머스파이썬연습문제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문제풀이
- aws자격증가이드
- EC2란
- 프로그래머스
-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 Python
- 파이썬 문자열 함수
- 파이썬문자열함수
- 파이썬
- 파이썬 math 라이브러리
- 파이썬 정렬
- SAA자격증
- 파이썬 최소공배수
- 파이썬 프로그래머스
- 프로그래머스파이썬
- itertools
Archives
- Today
- Total
사진찍는 개발자📸👩💻
[SAA] IAM(Identify and Access Management) 본문
반응형
SMALL
1. IAM (Identify and Access Management)
- Users & Groups
- 사용자를 생성하고 그룹 내에 배치하기 때문에 글로벌 서비스에 해당
- Root 계정은 default로 생성 되나, 사용 및 공유 해서는 안됨
- Group 내에는 사용자만 배치 가능, 다른 그룹 포함 불가
- Permissions
- 사용자(그룹)에게 권한, 또는 IAM Policy 라고 불리는 JSON 문서 지정 가능
- 해당 문서를 통하여 사용자들의 권한 정의 가능
- AWS에서는 least privilege principle(최소 권한의 원칙)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꼭 필요로 하는 권한만 제공
- Policies Structure
- 구성 요소
Version: 정책 언어의 버전 (ex: "2024-01-01")
Id: 정책을 식별하는 ID (Optional)
Statement: 한 개 이상의 statements (Required) - Statement 구성 요소
Sid(시드): Statement의 식별자 (Optional)
Effect(효과): 특정 API의 접근 권한(Allow/Deny)
Principal(원칙): 특정 정책이 적용될 사용자, 계정 혹은 역할
Action(조치): Effect에 기반하여 허용 및 거부되는 API 호출의 목록
Resource(리소스): 적용될 Action의 리소스 목록
Condition(조건): Statement가 언제 적용될 지 결정 (Optional)
- Password Policy
- 다양한 옵션을 이용한 비밀번호 정책 생성 가능
- 비밀번호 최소 길이 설정
- 특정 유형의 글자 사용(대문자,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 IAM 사용자들의 비밀번호 변경 권한 제공
- 비밀번호 만료 기간 설정
- 비밀번호 재사용 금지
- MFA(Multi Factor Authentication)
- Virtual MFA device: 하나의 장치에서 토큰을 여러개 지원, 원하는 수 만큼의 계정 및 사용자 등록 가능 (ex: Google Authenticator, Authy)
- Universal 2nd Factor(U2F) Security Key: 하나의 보안 키에서 여러 루트 계정과 IAM 사용자 지원(ex: Yubikey by Yubico)
- Hardware Key Fob MFA Device: (ex: Provided by Gemalto)
- Hardware Key Fob MFA Device for AWS GovCloud(US): (ex: Provided by SurePassID)
2. AWS CLI (Command Line Interface)
- AWS CLI (Command Line Interface)
- Command-line shell에서 명령어를 사용하여 AWS 서비스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
- AWS 공용 API로 직접 액세스 가능
- 일부 작업 자동화 가능
- AWS SDK (Software Development Kit)
- 특정 언어로 구성된 라이브러리의 집합
- AWS의 서비스에 프로그래밍을 위한 액세스 가능
3. IAM Role
- IAM Security Tools
- IAM Credentials Report: account level, 계정에 있는 사용자와 다양한 자격 증명의 상태 포함
- IAM Access Advisor: user level, 사용자에게 부여된 서비스의 권한과 해당 서비스에 마지막 액세스 시간 확인 가능, 해당 도구를 사용하여 어떤 권한이 사용되지 않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권한을 조정하여 최소 권한의 원칙을 지킬 수 있음
- IAM Guidlines & Best Practices
- Root 계정은 AWS 계정 설정 외에는 사용 X
- One physical user = One AWS user
- 사용자를 그룹에 넣어 해당 그룹에 권한 부여 가능
- 비밀번호 정책을 강력하게 할 것
- MFA 사용 가능할 경우 꼭 사용할 것
- AWS 서비스에서 권한을 부여할 때 마다 Role을 만들고 사용해야 함
- CLI 혹은 SDK를 사용할 경우 Access Key를 만들어서 사용할 것
- 계정 권한 감사는 IAM Credential Report 사용
- Never Share IAM users & Access Keys
반응형
LIST
'develop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A] EC2 Instance Storage (EBS, AMI, Amazon EFS) (1) | 2024.04.19 |
---|---|
[SAA] Amazon EC2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 2 (1) | 2024.04.18 |
[SAA] Amazon EC2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0) | 2024.04.17 |
[SAA] 시험 범위정리 (0) | 2024.01.26 |
[SAA] AWS Solution Architect Associate 시험 가이드 (0)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