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문제 설명 - 문자열 s를 숫자로 변환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 조건 - s의 길이는 1 이상 5이하입니다. - s의 맨앞에는 부호(+, -)가 올 수 있습니다. - s는 부호와 숫자로만 이루어져있습니다. - s는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 예를들어 str이 "1234"이면 1234를 반환하고, "-1234"이면 -1234를 반환하면 됩니다. - str은 부호(+,-)와 숫자로만 구성되어 있고, 잘못된 값이 입력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답안] def solution(s): return int(s) [문제 풀어보기]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25
[문제] 선분 세 개로 삼각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 가장 긴 변의 길이는 다른 두 변의 길이의 합보다 작아야 합니다. 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가 담긴 배열 sides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나머지 한 변이 될 수 있는 정수의 개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답안] def solution(sides): answer = 0 maxValue = max(sides) minValue = min(sides) return len([i for i in range(maxValue - minValue + 1, maxValue + minValue)]) [풀이] 두 변이 주어졌을 때 나머지 변을 구하는 방법은 큰 변 - 작은변 + 1 ~ 큰 변 + 작은변 ..
[문제] 머쓱이는 구슬을 친구들에게 나누어주려고 합니다. 구슬은 모두 다르게 생겼습니다. 머쓱이가 갖고 있는 구슬의 개수 balls와 친구들에게 나누어 줄 구슬 개수 share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balls개의 구슬 중 share개의 구슬을 고르는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답안] import math def solution(balls, share): answer = 0 return math.factorial(balls) / (math.factorial(balls - share) * math.factorial(share)) [풀이] 사실 답을 잘 모르겠어서 힌트로 주어진 공식에 대입만 하였다. math.comb(n, k) 함수를 사용하여 더 간..
[문제] 영어가 싫은 머쓱이는 영어로 표기되어있는 숫자를 수로 바꾸려고 합니다. 문자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umbers를 정수로 바꿔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답안] def solution(numbers): for index, value in enumerate(["zero", "one", "two", "three", "four", "five", "six", "seven", "eight", "nine"]): numbers = numbers.replace(value, str(index)) return int(numbers) [풀이] zero ~ nine 까지 선언된 배열을 enumerate() 함수를 활용하여 index와 value 값으로 for문을 ..
[문제] 숫자와 "Z"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담긴 문자열이 주어집니다. 문자열에 있는 숫자를 차례대로 더하려고 합니다. 이 때 "Z"가 나오면 바로 전에 더했던 숫자를 뺀다는 뜻입니다. 숫자와 "Z"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주어질 때, 머쓱이가 구한 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답안] def solution(s): answer = 0 array = s.split(' ') for i, v in enumerate(array): if v == 'Z': answer = answer - int(array[i - 1]) else: answer += int(v) return answer [풀이] 공백으로 split한 array 배열을 저장한다. enumerate를 사용하여 index..
[문제] 소인수분해란 어떤 수를 소수들의 곱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2를 소인수 분해하면 2 * 2 * 3 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12의 소인수는 2와 3입니다.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의 소인수를 오름차순으로 담은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답안] def solution(n): answer = [] i = 2 while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