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파이썬] 종이 자르기
def solution(M, N): return (M * N) - 1 종이를 1번 자르면 2장 종이를 2번 자르면 3장 종이를 3번 자르면 4장 ...
- develop/Python
- · 2023. 2. 22.
bin(n): 10진수를 2진수로 바꾸어주는 연산자 비트의 같은 자리끼리 비교하는 연산자를 비트 연산자라고 한다 연산자 의미 ex & 비트 AND a & b | 비트 OR a | b ^ 비트 XOR a ^ b ~ 비트 NOT a ~ b > b (a 값의 비트를 b 만큼 오른쪽으로 옮긴다 = 결과값이 작아진다) &= 비트 AND 연산 후 할당 a &= b |= 비트 OR 연산 후 할당 a |= b ^= 비트 XOR 연산 후 할당 a ^= b = b
[나의 풀이] def solution(n, t): return (2 ** t) * n 나는 2의 시간(t) 제곱 * 세균 수(n) 으로 계산을 했는데, 다른 사람의 풀이 중에 개쩌는게 있어서 가져왔다.. 비트 시프트 연산자를 활용하다니..... [개쩌는 풀이] def solution(n, t): return n
def solution(M, N): return (M * N) - 1 종이를 1번 자르면 2장 종이를 2번 자르면 3장 종이를 3번 자르면 4장 ...
def solution(hp): return (hp // 5) + ((hp % 5) // 3) + (((hp % 5) % 3) // 1) 장군개미: 5 병정개미: 3 일꾼개미: 1 hp // 5 => 장군개미의 수 (hp%5) // 3 => 장군개미를 구한 수의 나머지로 병정개미 구하기 ((hp%5) %3) // 1 => 병정개미를 구한 수의 나머지로 일꾼개미 구하기
a = 2, b = 5 연산자 의미 ex + 더하기 a + b = 7 - 빼기 a – b = -3 * 곱하기 a * b = 10 / 나누기 b / a = 2.5 ** 제곱 a ** b = 32 // 정수의 몫 b // a = 2 % 나머지 b % a = 1
def solution(n): if int(n ** 0.5) ** 2 == n: return 1 else: return 2 제곱 연산자인 ** 를 사용 0.5를 제곱 하면 n 의 제곱근이 float 형태로 반환된다. n ** 0.5 값을 int로 치환하고 다시 ** 2 (제곱)을 했을 때 주어진 수 n 과 같다면 n은 제곱수 이다. 파이썬 산술연산자 참조 [develop/python3] - [파이썬/Python] 산술 연산자